• 매창공원 > 공원/유원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원/유원지

    사진 출처 : 한국관광공사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무료다운로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 한국관광공사 TourAPI홈페이지(api.visitkorea.or.kr))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1-11-30 00:00
    매창공원
    • 분류 공원
    •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 주소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매창로 89 (부안읍)
    • 전화번호 063-580-4434
    • 홈페이지
    § 위치정보 인근관광지도
    § 거리뷰
    § 상세정보
    황진이, 허난설헌과 함께 조선시대 여류문장가로 유명한 부안 명기 이매창을 추모하여 조성한 공원으로 부안읍 서외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매창(李梅窓 1573~1610)은 조선 선조 때의 여류시인으로 이름은 계생(癸生,桂生) 또는 향금(香今)이라 했으며, 자는 천향(天香)이고 호는 매창(梅窓)이다. 부안의 현리(縣吏) 이탕종의 딸로 태어나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한테 글을 배워 한시에 뛰어났으며 가무도 잘했는데 특히 거문고를 잘 탔다. 또한 시조에도 능하여 그의 작품이라 전하는 시가 수편에 이르는데 대표적으로『梨花雨 흩날일제..』는 걸작으로 이별을 노래한 시로 으뜸으로 꼽는다. 그의 시문이 경향(京鄕)에 널리 알려지자 많은 문인, 호걸들이 매창과 사귀기를 원했는데 연평부원군 이귀(延平府院君 李貴) 교산 허균(蛟山 許筠), 촌은 유희경(村隱 劉希慶)등과 깊게 사귀었다. 1610년 38세의 나이로 죽어 부안읍 오리현(五里峴)『매창뜸』에 거문과와 함께 묻혔으며, 묘비와 상석이 있는데 매창묘는 1983년에 지방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매창이 죽은지 45년만인 1655년에 묘비가 세웠졌으며, 잊혀져가는 그의 주옥같은 한시 58편을 모아 1668년에 개암사(開岩寺)에서『매창집(梅窓集)』을 간행하였다. 이『매창집』은 현재 세권이 남아있는데 서울의 간송미술관에 두 권, 미국의 하버드 대학 도서관에 한 권이 보존되어 있으며, 1956년에 신석정이 최초로 대역한 매창집이 있다. 매창의 묘제는 매년 음년 4월 5일에 부풍율회 회원들에 의하여 지내지고 있다.
    본 사이트는 한국관광공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 2013-03-04'작성하여 공공누리로 개방한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공공누리 제1유형]'/ 사진(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제4유형]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_GW : https://www.data.go.kr/)(한국관광공사_관광사진 정보_GW https://www.data.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영상정보
    검색건수 465
    § 인근 여행지 (반경 5km 범위내)
    § 근처 식당 (반경 5km 범위내)
    § 근처 숙소 (반경 5km 범위내)

    댓글목록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회사명 : 개인홈페이지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3,450
    어제
    4,548
    최대
    4,627
    전체
    696,872
    모바일버전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