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도(진안) > 자연관광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연관광

    사진 출처 : 한국관광공사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무료다운로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 한국관광공사 TourAPI홈페이지(api.visitkorea.or.kr))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72회 작성일 -1-11-30 00:00
    죽도(진안)
    • 분류
    •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상전면
    • 주소 전라북도 진안군 상전면 죽도길
    • 전화번호 063-430-2605
    • 홈페이지
    § 위치정보 인근관광지도
    § 거리뷰
    § 상세정보
    * 정여립의 전설이 있는 곳 * 진안에서 무주방향으로 약 8km를 달리면 상전면 수동리 내송마을의 죽도에 이른다. 깎아 세운 듯한 바위산 절벽을 맑은 물이 한 바퀴 휘돌아 흐르고 있기에 마치 섬과 같은 곳이다. 산죽이 많다고 해서 죽도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곳은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인 정여립이 한때 은신했다는 죽도서당이 있었던 곳이다. 정여립이 역적으로 몰리자 이곳으로 와서 관군과 싸우다가 자결했다는 전설이 전한다. 그러나 사실은 정여립이 자결한 곳은 이곳이 아니라 부귀면 오룡리 다복동인 것으로 밝혀졌다. * 혁신적인 사상을 품은 사상가 * 조선중기 사람인 정여립은 (1546~1589)은, 천하는 일정한 주인이 따로 없다, 는 천하공물설(天下公物說)과 누구라도 임금으로 섬길 수 있다,는 하사비군론(何事非君論) 등 왕권 체제하에서는 용납될 수 없는 혁신적인 사상을 품은 사상가이다. 그 후 정여립은 제비산 기슭으로 낙향하여 대동계를 조직하는데, 대동이란 큰 도가 행해져 천하가 공평해진다는 의미이다. 신분에 제약을 두지 않고 가입을 허가했으며 보름마다 한 번씩 무술훈련을 하는 등 혁명적인 명제를 가지고 호남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해 왕성하게 활동하며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했다. 정여립의 죽음에는 자살설과 타살설이 분분하며, 실제로 그가 대동계를 이용하여 혁명을 꾀했는지 확실하지 않으며 이에 대해서는 조작설과 역모설의 양설이 있지만, 조선왕조의 기본적 가치관의 하나인 군신강상론(君臣綱常論)을 부정하는 것으로서 당시로써는 받아들여질 수 없는 혁신적인 사상이기 때문이다.
    본 사이트는 한국관광공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 2013-03-04'작성하여 공공누리로 개방한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공공누리 제1유형]'/ 사진(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제4유형]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_GW : https://www.data.go.kr/)(한국관광공사_관광사진 정보_GW https://www.data.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영상정보
    검색건수 183
    § 리뷰정보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회사명 : 개인홈페이지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2,567
    어제
    4,548
    최대
    4,627
    전체
    695,989
    모바일버전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