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천 이지당 > 역사관광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역사관광

    사진 출처 : 한국관광공사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무료다운로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 한국관광공사 TourAPI홈페이지(api.visitkorea.or.kr))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1-11-30 00:00
    옥천 이지당
    • 분류 사적지
    • 지역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 주소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이백6길 126 (군북면)
    • 전화번호 043-730-3728
    • 홈페이지
    § 위치정보 인근관광지도
    § 거리뷰
    § 상세정보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이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당으로 2020년 12월2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중엽 옥천읍 옥각리에 사는 금(金), 이(李), 조(趙), 안(安)의 4문중이 합작해서 세운 서당이다. 당초에는 각신동(覺新洞)이라는 마을 앞에 있었으므로 각신서당(覺新書堂)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후학을 가르쳤던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조헌(趙憲:1544~1592)의 친필로 된 `각신서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조헌은 본관은 배천(白川),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 도원(陶原) 또는 후율(後栗)이며,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이이의 문인 가운데서도 뛰어난 학자로,〈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하여 이이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켰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義兵)을 일으켜 1,700여 명을 규합하여 영규대사(靈圭大師)의 승병(僧兵)과 함께 청주(淸州)를 수복하는 공을 세웠다. 그러나 그후 금산싸움에서 700명의 의병과 함께 순국하였다. * 이지당의 유래 * 각신서당은 후에 송시열(宋時烈)이 《시전(詩傳)》에 있는 `고산앙지 경행행지(高山仰止 景行行止)`, 즉 `산이 높으면 우러러 보지 않을 수 없고 큰 행실은 그칠 수 없다` 라는 뜻의 문구에서 끝의 `지(止)`자를 따서 이지당(二止堂)이라고 고쳐 불렀다. 후 퇴락된 것을 1901년(광무 5) 이 서당을 세웠던 4문중에서 재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현재 서당 건물은 목조 6칸의 강당과 누각으로 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한국관광공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 2013-03-04'작성하여 공공누리로 개방한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공공누리 제1유형]'/ 사진(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제4유형]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_GW : https://www.data.go.kr/)(한국관광공사_관광사진 정보_GW https://www.data.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영상정보
    검색건수 281
    § 리뷰정보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회사명 : 개인홈페이지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2,024
    어제
    4,548
    최대
    4,627
    전체
    695,446
    모바일버전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