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국사(남원) > 역사관광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역사관광

    사진 출처 : 한국관광공사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무료다운로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 한국관광공사 TourAPI홈페이지(api.visitkorea.or.kr))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1-11-30 00:00
    선국사(남원)
    • 분류 사찰
    •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산곡동
    •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산성길 239 (산곡동)
    • 전화번호 063-625-7222
    • 홈페이지
    § 위치정보 인근관광지도
    § 거리뷰
    § 상세정보
    선국사(善國寺)는 전라북도 남원시 산곡동 419번지 교룡산성 내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이다. 교룡산이 이름 높은 것은 속에 교룡산성(蛟龍山城)을 품고 있어서이다. 교룡산성은 남원지역 20여 개의 산성 중 형태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성으로, 백제 때 신라와 대적하여 처음 쌓았다고 전한다. 또한, 고려 말 이성계 장군이 왜구를 맞아 싸웠고, 임진왜란 당시 승장 처영이 크게 수축한 곳이다. 그런가하면 동학혁명 때는 접주 김개남이 이끄는 농민군이 관군과 큰 접전을 벌인 역사적인 유적지이기도 하다. 절이름에 `국(國)`자가 들어가는 사찰들은 대부분 나라를 위해 큰 역할을 담당해왔던 것처럼 선국사도 나라를 지켜낸 수난의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 나라가 위기에 빠졌을 때 호남지역의 6개 군현에서 거둔 군량미(軍糧米)를 바로 이 교룡산성에 보관했는데, 이때 선국사는 교룡산성을 지키는 수비대의 본부 역할을 했던 것이다. 그래서인지 전성기에는 300여 명의 스님이 머물 정도의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1960년 보제루에서 발견된 구리도장은 산성을 지키는 승군(僧軍)에게 조정에서 내려보낸 것으로, 교룡산성과 선국사를 나라에서도 중요하게 여겼음을 짐작할 수 있다. 선국사는 이러한 역사의 현장에서 평상시에는 불법 수행도량으로, 전시(戰時)에는 방어진지 역할을 하며 역사의 흥망을 함께 해왔다. 그러나 지금은 모든 시름을 뒤로한 채 허물어진 성벽과 더불어 인적 드문 깊은 숲에 홀로 고즈넉이 들어앉아 있다. 대웅전에 걸려있는 커다란 북과 백골(白骨)같은 보제루는 치열했던 시절을 말해주는 상징물로 남아, 찾는 이를 맞아준다.
    본 사이트는 한국관광공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 2013-03-04'작성하여 공공누리로 개방한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공공누리 제1유형]'/ 사진(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제4유형]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_GW : https://www.data.go.kr/)(한국관광공사_관광사진 정보_GW https://www.data.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검색건수 121
    § 리뷰정보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회사명 : 개인홈페이지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2,979
    어제
    4,548
    최대
    4,627
    전체
    696,401
    모바일버전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