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봉영사(남양주시) > 역사관광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역사관광

    사진 출처 : 한국관광공사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무료다운로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 한국관광공사 TourAPI홈페이지(api.visitkorea.or.kr))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1-11-30 00:00
    봉영사(남양주시)
    • 분류 사찰
    •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2로 84-77
    • 전화번호 031-571-0555
    • 홈페이지
    § 위치정보 인근관광지도
    § 거리뷰
    § 상세정보
    * 조선시대 왕실의 원찰 중 하나, 봉영사 * 봉영사(奉永寺)는 경기도 남양주시 천점산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원찰(願刹)이란 다른 말로 원당(願堂)이라고도 하는데, 말 그대로 원(願)을 빌어주는 곳을 말한다. 불교국가였던 고려와는 달리 조선은 유교를 국시(國是)로 하는 `u201C배불숭유(排佛崇儒)`u201D정책을 일관되게 지속하여 불교를 배척하였다. 하지만 유교가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가치관이나 규범 등에 치우칠 뿐 사람들이 가지는 사후세계에 대한 불안과 현실의 고통에 대해서는 해답을 주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죽은 자의 영혼이 좋은 곳으로 가게하고, 자신들의 복을 빌어줄 곳은 불교밖에는 없다고 여기는 백성들은 불교를 계속 신봉하였다. 또한 왕실이나 양반들도 개인적으로는 원찰을 만들어 조상의 영혼을 위로하고 자신의 복을 빌었다.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서울의 봉은사, 안성의 청룡사,화성의 용주사, 남양주의 봉선사와 흥국사 등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왕실의 원찰이다. 봉영사도 이와 같은 원찰의 하나입니다. 봉영사 입구에 보면 순강원(順康園)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순강원은 훗날 인조(仁祖)의 할머니가 되시는 선조의 후궁 인빈(仁嬪) 김씨의 묘소이다. 이렇게 순강원의 원찰로 지정된 봉영사는 절 이름까지도 봉인암(奉仁庵)에서 `u201C순강원을 오래도록 받든다`u201D는 뜻으로 봉영사로 바뀌게 된다. * 봉영사의 유래 * 599년(신라 진평왕 21)에 창건하고 봉인암(奉仁庵)이라고 불렀다. 이후 조선 중기까지의 연혁은 전하지 않는다. 1737년(영조 13) 태전(太顚)과 해청(海淸)·치학(致學)이 중창하였다. 인근에 선조의 후궁이었던 인빈(仁嬪) 김씨의 묘와 그의 둘째아들 신성군(信城君:?∼1592)의 묘가 있는데, 1755년(영조 31) 묘역을 순강원(順康園)으로 꾸미면서 이 절을 인빈김씨와 신성군의 명복을 기원하는 원찰로 삼았다. 순강원이 들어서면서 재실과 신도비·정자각이 세워졌으며, 절 이름도 봉영사로 바뀌었다. 이 때 절에 토지 10결을 내려 설날과 추석 등 명절에도 제사를 지내게 했다.
    본 사이트는 한국관광공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 2013-03-04'작성하여 공공누리로 개방한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공공누리 제1유형]'/ 사진(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제4유형]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_GW : https://www.data.go.kr/)(한국관광공사_관광사진 정보_GW https://www.data.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영상정보
    검색건수 25
    § 리뷰정보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회사명 : 개인홈페이지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3,061
    어제
    4,548
    최대
    4,627
    전체
    696,483
    모바일버전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