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원치마애불상 > 역사관광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역사관광

    사진 출처 : 한국관광공사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무료다운로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 한국관광공사 TourAPI홈페이지(api.visitkorea.or.kr))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9회 작성일 -1-11-30 00:00
    여원치마애불상
    • 분류 사적지
    •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양가리
    • 전화번호 063-620-6172
    • 홈페이지
    § 위치정보 인근관광지도
    § 거리뷰
    § 상세정보
    * 낭떠러지 암벽에 새겨진 마애불상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양가리에 있는 마애불인 여원치는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에서 운봉읍으로 향하는 국도 상의 고개를 말한다. 여원재 낭떠러지에 병풍처럼 둘러진 암벽 가운데 새겨져있다. 높이 230cm, 어깨 너비 120cm이다. 1997년 11월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오른쪽 머리와 얼굴 일부 및 오른쪽 손이 절단되었고, 하체로 내려갈수록 조각선이 불분명한데, 머리 뒤로는 희미하게 두광이 남아 있다. 사각형에 가까운 넓적한 얼굴에는 이목구비가 큼직하게 표현되었으며, 옆으로 길게 찢어진 듯 한 눈과 양쪽으로 넓게 퍼진 콧망울, 짧은 인중, 꾹 다문 각진 입 등에서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느낄 수 있다. 다소 두꺼운 가사, 신체 표현에 육감적인 면이 부족한 점 등으로 미루어 고려 말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이는 불상 * 비록 조각이 얕기는 하지만 넓고 강건하면서도 부드럽게 흘러내린 옷자락은 앞가슴에서 한 번 옷자락이 반전되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가슴 아래로 흘러내렸다. 오른쪽 어깨에서 내려온 옷자락을 가슴 부근에서 법의(法衣) 안으로 끼워 넣고 앞 팔에도 옷 주름을 묘사하는 등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인다. 그렇지만 배아래 부분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조각선이 희미해져 형상을 알 수 없다. 불상의 머리 부분은 약간 파손된 상태이며, 머리 뒷면에 광배가 표현되어 있다. 왼쪽손은 팔굽 아래 부분이 결실되었고, 오른팔은 굽혀서 가슴 부분에 대고 있다. * 이성계장군의 황산대첩 전설이 담긴 * 여원치 마애불상이 어느 시기에 조성되었는지 기록에는 잘 나와 있지 않다. 현재 남아 있는 불상은 중후한 신체 표현과 평면적인 조각 수법 등으로 볼 때 고려 전기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마애불 조성 기록 명문은 남아 있지 않으나, 운봉현감 박귀진이 남긴 기록에 이성계 장군의 황산대첩 전설이 담겨 있어 귀중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본 사이트는 한국관광공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 2013-03-04'작성하여 공공누리로 개방한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공공누리 제1유형]'/ 사진(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제4유형]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_GW : https://www.data.go.kr/)(한국관광공사_관광사진 정보_GW https://www.data.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영상정보
    검색건수 313
    § 리뷰정보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회사명 : 개인홈페이지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1,936
    어제
    4,548
    최대
    4,627
    전체
    695,358
    모바일버전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