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곡향교 > 역사관광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역사관광

    사진 출처 : 한국관광공사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무료다운로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 한국관광공사 TourAPI홈페이지(api.visitkorea.or.kr))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22회 작성일 -1-11-30 00:00
    칠곡향교
    • 분류 사적지
    •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 597
    • 전화번호 053-322-0430
    • 홈페이지
    § 위치정보 인근관광지도
    § 거리뷰
    § 상세정보
    조선왕조가 유교 이념을 수용하기 위해 중앙과 지방에 설치한 중등 과정의 교육기관이었다. 고려시대부터 세워졌으나 성행하지 못하다가 조선시대 태조(太祖) 즉위 초 문풍 쇄신을 하면서 인재 양성의 요람이 되었다. 전국 각 주(州)·부(府)·군(郡)·현(縣)에 각각 1개씩 설립 운영되면서 빛을 발했던 향교는 임진왜란 이후 사학 서원이 들어서면서 점차 퇴색했다. 마침내 한 읍(邑)에 하나의 향교만 남게 되었는데, 칠곡향교도 그 하나이다. 칠곡향교 대성전은 조선 태조 7년(1398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나 고증 할 수 있는 상세한 문헌이 없다. 현재의 건물은 조선시대 인조 20년, 경진년(1642년)에 건축되었다. 현재 대구광역시 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매년 음력 2월 상정일, 8월 상정일에 석전대제(釋奠大祭)를 봉행(奉行)하며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분향례(焚香禮)를 올리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서무(東·西廡)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1894년(고종31) 이후 과거제도 폐지와 함께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졌다가 근래와 와서 교육적 기능을 되살려 학생과 일반인들을 위한 충효교육의 장으로 유교경전, 서예, 향사례, 다례 등 전통문화 계승 발전의 산실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향역은 1980년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대구직할시로 편입됐다가 현재는 대구광역시 향교재단으로 소속되어 있다. 칠곡향교에서는 2013년 3월 전통문화체험관 개관과 함께 지역민을 위한 교화사업으로 교양강좌 및 전통문화체험과 전통혼례, 인성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한국관광공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 2013-03-04'작성하여 공공누리로 개방한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공공누리 제1유형]'/ 사진(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제4유형]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_GW : https://www.data.go.kr/)(한국관광공사_관광사진 정보_GW https://www.data.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영상정보
    검색건수 159
    § 리뷰정보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회사명 : 개인홈페이지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259
    어제
    4,548
    최대
    4,627
    전체
    693,681
    모바일버전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